한국의 크리처
괴물은 2006년에 봉준호 감독이 연출한 영화입니다. 능력 면에서 이미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평을 듣는 봉준호 감독의 수작입니다. 괴수 영화 특유의 흥미로운 장면들도 물론 재미를 주는 포인트이지만, 봉준호 감독 영화에서 특히 자주 보이는 사회에 대한 냉소적이고, 촌철살인적인 풍자를 엿볼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들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사회 하층민이나 소시민들에 대한 수준 높은 고찰 역시 이 영화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배우진 역시 화려한데, 주인공 가족 역할을 맡게 되는 송강호 배우와 변희봉 배우, 그리고 배두나 배우와 박해일 배우, 고아성 배우까지 누구 하나 연기력 공백 없는 탄탄한 배우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인공들이 괴수에 맞서 화려한 액션신을 보여주는 여타 다른 괴수물들과는 달리, 소시민들의 처절한 저항을 보여주는데, 이런 점이 국내에서는 높게 평가되었으나 해외에서는 적잖은 실망감이 있던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여태까지 괴물과 같은 크리처 영화는 없었고, 그런 점에서 장르의 다양성을 개척하고, 새로운 충격을 줬다는 점이 봉준호 감독이 세계적인 감독으로 높게 평가되는 이유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한국에서 크리처 영화는 흔하지 않은 편인데, 디워나 7광구만 봐도 이 영화의 수준이 얼마나 높은지 체감할 수 있습니다. 영화에 살짝 녹아 있는 반미 요소도 느낄 수 있습니다.
괴물의 등장
영화는 어떤 실험실에서 미국인의 명으로 한강에 유해 물질을 흘려보내는 과학자로 시작됩니다. 그리고 그로 인해 생긴 어떤 이상 물체가 생겼다는 것을 암시하는 장면들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평화로운 한강에서 매점을 운영하는 아버지를 도우며 살아가는 강두를 비춰줍니다. 하지만 매일같이 졸며, 심부름도 제대로 못하고 딸에게 새 휴대폰 사주겠다며, 컵라면 통에 동전을 모으는 한심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양궁 국가대표인 동생 남주의 경기를 보면서 딸 현서와 응원을 하려고 하나, 손님의 오징어 다리를 하나 훔쳐 먹은 것이 걸려, 아버지 희봉에게 한소리 들으며 손님에게 서비스로 맥주를 주기 위해 나오게 됩니다. 투덜거리며 손님에게 향한 강두는, 손님과 사람들이 다 같이 한 \곳을 보는 것을 알게 되고 호기심에 그쪽으로 갑니다. 서강대교에 처음 보는 물체가 매달려 있었고, 헤엄쳐 왔습니다. 강두는 생명체에게 맥주를 던졌는데, 꼬리로 맥주캔을 확 낚아채자, 사람들은 환호합니다. 그리고 사라져버려 사람들은 아쉬워하며, 자리로 돌아가려는 찰나, 저쪽에서 거대한 몸체로 시민들을 짓밟으며 달려오는 괴물을 발견합니다. 사람들은 도망치고, 괴물은 컨테이너로 도망치는 사람들을 쫓아 컨테이너로 들어갑니다. 컨테이너 반대쪽은 막혀있었고 사람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는데, 강두와 미군 도널드가 이를 돕게 됩니다. 괴물은 강두와 도널드를 공격했고, 강두는 싸우다가 도망치지만 이 과정에서 얼굴에 괴물의 피가 묻게 됩니다. 남주의 경기를 보느라, 바깥의 아수라장을 모르던 현서는 나왔다가 괴물에 꼬리에 낚아채이며, 납치 되게 됩니다.
바이러스
괴물로 인한 피해자들의 합동 분향소가 생겼고, 백수 삼촌 남일과 양궁 선수 남주까지 오며, 가족은 현서의 영정 앞에서 오열을 합니다. 한바탕 소란 후, 현서를 생각하던 그때 방역 복장을 한 직원이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으니, 괴물과 접촉한 사람은 나오라고 얘기합니다. 강두는 괴물의 피가 튀었다고 사실대로 얘기하고, 강두와 가족들은 병원으로 끌려갑니다. 강두는 몸이 이상한 것 같다며, 몸을 자꾸 긁고 한밤중에 골뱅이를 까먹습니다. 그리고 강두는 현서의 하수구 안이라며 구해달라는 전화를 받게 됩니다. 현서는 살아있었습니다. 가족들은 이를 경찰과 의사에게 말했지만, 아무도 믿어주지 않았고 결국 탈출을 결심합니다. 그리고 흥신소 직원들의 봉고차를 이용하여 탈출하는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총과 지도, 그리고 트럭을 사서 방역 때문에 검문이 한창인 한강을 통과해 들어갑니다. 그리고 현서를 찾기 위해 한강 하수구를 이잡듯이 뒤지기 시작합니다. 한편 한강에서 나오지 않고, 매점 서리를 하던 세주와 세진은 괴물의 습격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괴물의 아지트에서 토해지나, 동생 세주만 살아남아 현서와 만나게 됩니다. 그 사이 하수구를 뒤지느라 지친 강두 일행은 매점에서 식사를 하고 잠깐 휴식을 취하고 있는데, 밖에서 빗물을 마시고 있는 괴물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괴물과 전투를 벌이나, 이 과정에서 희봉이 죽고 강두는 붙잡히게 됩니다. 그리고 남일과 남주는 도망칩니다.
괴물 퇴치
도망친 남일은 통신사에서 일하는 학교 선배를 이용하여, 현서 핸드폰의 위치 추적을 했고 원효대교 북단에 있다는 것을 알아냅니다. 하지만 선배는 남일을 넘기고 현상금을 받으려 했고, 남일은 정전시키는 기지를 발휘하여 형사들을 따돌리고 도망칩니다. 한강의 철교 속에서 몸을 숨기고 있던 남주는 남일에게 이 정보를 듣게 되고 움직입니다. 그리고 바로 강두에게 전화하여 이 사실을 알리지만 곧바로 괴물을 만나 당하게 됩니다. 하지만 다행히 구멍으로 떨어져 괴물에게 붙잡히진 않습니다. 강두는 간호사를 인질로 잡아 병원을 탈출하고 한강으로 향합니다. 그리고 남일은 어떤 노숙자의 도움을 받아 화염병을 가득 만들어 한강으로 향합니다. 그리고 기절해있던 남주 역시 깨어나 활을 들고 원효대교로 향합니다. 한편 괴물에게서 탈출하기 위해, 자고 있는 괴물을 밟고 하수구 위의 줄을 잡으려던 현서와 세주는 결국 괴물에게 들켜 먹히고 맙니다. 한편 한강에서는 괴물 퇴치를 위한 생화학 무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 시위가 일어나고 있었고, 이 현장을 괴물이 덮칩니다. 생화학 무기에 고통스러워하는 괴물의 입속에서 현서와 세주를 꺼내는데, 현서는 이미 죽어있었습니다. 분노한 남일과 노숙자는 괴물에게 석유를 붓고 화염병을 던지는데, 화염병을 피해 달아나는 괴물을 맞추지 못했고, 화염병의 불쏘시개를 활에 꽂아 남주가 맞히게 됩니다. 그리고 불에 타서 고통스러워하며 물로 뛰어드려고 하는 괴물을 강두가 표지만으로 찔러 죽이며, 괴물 퇴치에 성공합니다.
괴물이 문제였나
영화는 괴물을 중심적으로 전개되지만, 과연 괴물이 문제였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애초에 괴물의 탄생 역시 한강에 유해 물질을 흘려보낸 인간에 의해 탄생된 것이며, 괴물로 인한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도 좀 더 정부가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구조에 힘썼다면, 해결되었을 상황이 계속해서 연출됩니다. 애초에 현서의 전화를 받았을 때, 정신병으로 치부하지 않고 위치 추적을 해봤다면, 간단하게 해결되었을 상황이 점점 커집니다. 그 제보를 받아들이기만 했더라도, 현서의 구조에서 끝나지 않고, 더 많은 피해자를 줄일 수 있으며 괴물의 소재를 파악해 직접 사살할 수 있었을 겁니다. 거기다가 바이러스로 인해 피해자들을 구속하고, 실제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아 무분별한 실험을 자행하는 것 역시 그렇습니다. 재난 상황에 정부의 안일하고 획일적인 판단으로 소시민들이 고통받는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주며 씁쓸함을 자아냅니다. 반미 영화라는 의혹도 있는데, 영화 초반부에 의인의 행동을 보여주던 도널드 하사만 봐도, 반미 영화라고는 보기 힘들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반미적 시각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고 보입니다. 여러 가지 의미도 많고 재미있습니다. 꼭 추천합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턴 (The Intern) 결말 포함 (0) | 2025.01.30 |
---|---|
기생충 (Parasite) 결말 포함 (0) | 2025.01.29 |
파묘 (Exhuma) 결말 포함 (0) | 2025.01.27 |
검은 사제들 (The Priests) 결말 포함 (0) | 2025.01.26 |
범죄의 재구성 (The Big Swindle) 결말 포함 (1)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