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 오컬트
24년에 개봉한 장재현 감독의 장편 영화입니다. 그동안 검은 사제들과 사바하 등으로 보여줬던 한국식 오컬트 장르의 장인이라고 볼 수 있는 장재현 감독의 작품이기에 큰 기대를 하고 봤었던 기억이 납니다. 원래가 종교적, 그리고 신화적인 색채가 뚜렷한 이야기와 그에 수반되는 퇴마, 오컬트적인 장르를 세심하게 풀어나가는 데 있어 국내 최고 권위자라고 할 수 있는 감독이기에 기대를 안 할 수가 없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오컬트 장르에서 장재현 감독 작품에 비견될 작품은 나홍진 감독의 곡성을 제외하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관념적인 장르를 추구해온 장재현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는 엔터텐인적인 요소를 크게 가미했다고 했는데, 개인적으로는 유효했다고 봅니다. 그리고 상당히 생경한 스타일로 만들어진 OST나, 현대 오컬트 물답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무당의 복장이 아닌, 굉장히 현대적인 복장의 무당을 보여주며 상당히 입체적인 캐릭터 설정을 보여줍니다. 긴장감을 놓치지 않고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전개가 큰 장점이며, 영화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갈라놓은 것 역시 굉장히 신선했습니다. 전반이 기존의 전작들에서 보여줬던 것과 같은 심령 물적인 성격이라면, 후반부에서는 어떤 민족주의적 성격의 얘기를 전개해남과 동시에 일종의 크리처 물로 전환된 것이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또한 한국식 신앙뿐만 아니라, 풍수지리까지 연결한 점이 대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묫바람
영화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대부호의 집으로 시작됩니다. 이곳을 방문한 무당 화림과 제자인 법사 봉길은, 곧바로 갓난아기가 있는 병실로 갑니다. 잠시 아기를 살펴보던 화림은, 아버지와 할아버지 역시 같은 증상일 보일 것이라고 말하고 의뢰인의 저택으로 이동합니다. 의뢰인 박지용은 자신의 형은 자살했고, 그 이후 본인과 자식에게 누군가가 비명 지르며, 목을 조르는 이상 현상이 일어났다고 말합니다. 화림은 조부의 묫바람이라고 설명하며, 전문가들을 쓰면 해결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영화는 곧바로 그 전문가들인 지관 상덕과 장의사 영근을 비춥니다. 상덕은 파묘를 한 묘의 흙을 맛보고 만족해하고, 장의사 영근은 유해 상태가 깨끗함을 확인합니다. 묘에 이상이 없는데도, 의뢰인 회장이 자꾸 꿈에 어머니가 나온다는 말을 하자, 상덕은 수습한 유해를 찬찬히 봅니다. 그리고 누가 할머니 이빨 가져갔냐며 묻고 막내 손자가 가지고 있던 것을 모두가 알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시신에 돌려주며 사건을 해결합니다. 돈을 두둑하게 받은 상덕과 영근은 소고기에 송이버섯을 구워 먹고, 이때 화림과 봉길이 등장합니다. 미국에서 의뢰받은 것을 설명하며, 딱 묫바람 증상이라 같이 일할 것을 제안하게 되고, 부자라는 말에 이들은 수락합니다.
수상한 묘
의뢰인과 함께 방문한 조부의 묘는, 근처에 여우들이 돌아다니고 비석엔 알 수 없는 숫자들이 새겨져 있으며, 볼품없이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흙 맛을 본 상덕은 찌푸리며 바로 뱉어냅니다. 상덕은 묫자리를 누가 알아봐 줬는지 물어보고 지용은 기 순애라는 스님이라고 들었다고 말해줍니다. 상덕은 묘가 악지 중의 악지라며, 이런 곳을 건드리면 줄초상 난다며, 의뢰를 포기하게 됩니다. 하지만 거액의 의뢰비가 있기에, 화림은 포기할 수 없었고, 대살 굿을 하자면서 상덕을 설득합니다 이어 지용도 자신의 아들 좀 살려달라며 간청하여 상덕은 결국 받아들이게 됩니다. 봉길과 화림이 대살 굿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파묘가 진행됩니다. 그리고 왕가의 묘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향나무 관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관은 운구차에 실려 화장터로 향합니다. 한편 일꾼들은 묘를 뒤적거리며 돈 되는 것이 있나 찾다가 사람 머리를 한 뱀을 삽으로 찍게 됩니다. 뱀은 비명을 질렀고, 갑자기 폭우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시신은 인근 병원 장례식장으로 방향을 돌립니다. 그리고 상덕은 근처에 있던 절에서 무덤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되고, 영근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욕심을 부린 관리소장에 의해 관이 열리게 되며 무언가가 밖으로 나가게 되고 화림은 혼절하게 됩니다. 그리고 관을 빠져나간 혼령은 미국으로 가 박지용의 부모를 모두 죽인 뒤, 박지용의 호텔방으로 찾아가게 됩니다. 소식을 들은 상덕은 급하게 박지용을 찾아가 문을 두드리는데, 절대 문을 열지 말고, 창문을 열라는 상덕 목소리의 전화를 듣고 창문을 열게 됩니다. 그리고 지용은 혼령에게 빙의 되어 죽게 됩니다.
도깨비불
뱀을 죽여 동티에 걸린 인부 이야기를 듣고 묘로 다시 찾아간 상덕은 또 다른 나무 관을 발견하고 첩장임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일행은 다시 모여 첩장된 관을 파헤쳐 일단 인근의 보국사로 옮기게 됩니다. 그리고 스님과 식사를 즐긴 일행은 하룻밤 묵게 되는데, 봉길은 보살에게 배를 눌리며 가위로 인해 깨게 됩니다. 그리고 관 뚜껑이 터져 있고, 인근 축사에서 돼지들과 노동자가 정체를 알 수 없는 거대한 생명체에게 죽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관에 돌아온 그 형체는 일본 무사 갑옷을 입은 거인이었습니다. 화림을 공격하려는 찰나, 봉길이 대신 공격을 당하게 되고, 무사는 도깨비 불로 변하더니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일행은 봉길을 구하고, 괴물을 퇴치하기 위해 다시 묘로 가게 됩니다. 묘 주변의 길을 따라 은어를 한 마리씩 놓고 주목나무로 향하게 만든 뒤, 괴물을 그쪽으로 유인한 뒤 화림이 시간을 끌기로 합니다. 그리고 그 사이 상덕과 영근은 일본 귀신을 붙들고 있는 쇠침을 뽑기로 합니다. 새벽이 되자, 오니가 나와 은어를 먹으며 가기 시작했고, 상덕과 영근은 열심히 묘를 파헤치며 쇠침을 찾습니다. 그 사이 화림은 오니를 붙잡아두고, 화림은 위기에 처하게 되나 화림의 무당 신인 할머니 신이 나타나 오니와 대치하게 되고, 그 틈을 타 화림은 도망칩니다. 결국 쇠침을 찾지 못하고 아직도 묘에 머물러 있는 상덕에게 오니가 돌아왔고, 오니는 상덕의 배를 손으로 찌릅니다. 화림은 오니에게 말의 피를 쏟아부었고, 오니가 정령이라는 화림의 말을 상기한 상덕은 불타는 쇠인 오니와 상극인 물에 젖은 나무로 오니를 퇴치하게 됩니다.
민족주의적 오컬트
파묘를 관통하는 주류적인 이야기는, 민족주의이며 그것을 오컬트라는 장르로 표현을 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민속신앙과 풍수지리를 이야기 속에 잘 연결해 표현해낸 것도 훌륭했고, 한국 영화에서는 생소했던 정령이라는 개념과 음양오행으로 인한 퇴치까지 유려하게 표현해냈습니다. 특히 일반적인 우리나라 귀신을 굿으로 퇴치한다는 개념이나, 가톨릭의 구마 의식 같은 개념과 달리, 살의만을 가진 정령이라는 개념을 가진 일본의 오니를 음양오행으로 퇴치한다는 마무리는 굉장히 신선하고 또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다만 공포적인 요소에서는, 실체가 없던 공포인 전반부와는 달리 오히려 정령 혹은 괴물이라는 모습을 드러낸 후반부가 공포적인 요소는 오히려 반감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입체적인 캐릭터 설정과 반전, 그리고 급박하게 돌아가며 긴장감을 늦추지 않게 만드는 전개 방식 등 이 영화를 재밌게 볼 수 있던 요소는 부지기수였기에, 꼭 추천하고 싶습니다. 특히 최민식 배우와 유해진 배우, 그리고 김고은 배우와 이도현 배우까지 뛰어난 연기력으로 더 큰 몰입감을 선사했습니다. 연기 차력쇼를 보는 것 같던 이들의 연기를 감상하면서 보시는 것도 좋은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생충 (Parasite) 결말 포함 (0) | 2025.01.29 |
---|---|
괴물 (The Host) 결말 포함 (1) | 2025.01.28 |
검은 사제들 (The Priests) 결말 포함 (0) | 2025.01.26 |
범죄의 재구성 (The Big Swindle) 결말 포함 (1) | 2025.01.25 |
도둑들 (The Thieves) 결말 포함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