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결말 포함

by 재테크 도감 2025. 1. 19.

 

대작의 두 번째 이야기

반지의 제왕 두 번째 이야기인 두 개의 탑은 반지의 제왕 트릴로지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입니다. 반지 원정대로 첫 번째 이야기의 스타를 훌륭하게 끊은 반지의 제왕 시리즈는 두 개의 탑에서 전작의 이야기를 훌륭하게 연계해 냈습니다. 전편이 훌륭할 경우에 속편은 어느 정도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는데, 두 번째는 더욱 훌륭하게 연출하며 큰 호평을 받아냈습니다. 개인적으로 2편에서 보여주는 대규모 전투신은 여껏 판타지 영화가 보여준 전투신 중 최고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전투신으로 가는 빌드업 그리고 전개되는 장엄한 전투신 그리고 전투에서의 승리까지 보여주는 전개가 너무나 훌륭하고 몰입감이 대단했습니다. 영화는 두 개의 탑으로 대변되는 사우론과 사루만 군대와의 두 가지 전투 양상을 보여주는데, 개인적으로 너무나 재밌습니다. 본래 소설에서의 전투 묘사는 상상을 기반으로 하기에 이걸 실제로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는 영화에서 기대감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데,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상상하던 그 이상으로 훌륭하게 표현해 내서 눈과 귀가 즐거웠습니다. 또한 지금 봐도 위화감이 전혀 없는 CG는 완벽한 완성도를 보여줍니다. 특히 아라곤과 보로미르 그리고 김리가 보여주는 전투신이 아주 볼 만합니다. 각 종족을 대표하는 무인들이, 각 종족의 대표 무기를 가지고 화려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소설로 채우지 못했던 부분을 훌륭하게 채워줍니다.

 

프로도와 샘

일행에게서 따로 나온 프로도와 샘은 몸을 숨기고 조용하게 모르도르를 향해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하지만 길 안내가 없어, 계속해서 같은 길을 헤매게 됩니다. 이렇게 길을 헤매다 지친 그들을 골룸이 습격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라곤과 보로미르에게 칼 쓰는 법을 전수받으며, 생사의 갈림길을 넘어와 성장한 호빗들에게 손쉽게 제압당하게 됩니다. 골룸은 목숨을 보전 받는 대가로, 길 안내를 자처하게 됩니다. 골룸은 프로도를 통해 절대 반지에 종속되며 잃어버렸던 본래의 이름인 스미골을 되찾게 되고, 새로운 인격을 되찾게 됩니다. 그리고 진심으로 프로도를 주인으로 섬기는 듯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샘은 골룸을 여전히 경계하고 친절하게 대해주지 않습니다. 골룸의 길 안내를 받아 순조롭게 모르도르를 향해 가는듯했던 그들은 곤도르의 파라미르 부대와 마주치게 되고, 이들에게 붙잡힙니다. 파라미르는 자신을 놔달라는 프로도의 간청에도 프로도와 반지를 곤도르에 바치기 위해 데리고 다니게 되고 그 과정에서 나즈굴과 오크들과 전투를 벌이게 됩니다. 그리고 샘에 의해 보로미르가 왜 죽었는지, 그의 마지막 모습이 어땠는지 전해 듣게 됩니다. 그리고 파라미르는 결국 프로도 일행을 놔주게 됩니다. 그리고 프로도와 샘 그리고 골룸은 다시금 모르도르를 향해 발걸음을 옮깁니다.

 

아라곤과 레골라스 그리고 김리

메리와 피핀을 구하기 위해 발걸음을 재촉하던 아라곤 일행은, 죽은 줄 로만 알았던 간달프를 다시 만나게 됩니다. 간달프를 통해 호빗들이 무사한 것을 전해 듣게 된 일행은, 간달프와 함께 서둘러 로한으로 떠나게 됩니다. 사루만의 마법에 걸려 쇠약해져가던 로한의 왕 세오덴은 그들의 방문을 받게 되고 기나긴 마법에서 구해집니다. 마법의 영향이 가시고 나니, 지력을 되찾은 세오덴은 사루만의 부하를 쫓아내고, 다시금 지휘자가 되지만 쇠약해져 있을 때 그를 떠난 군대가 없어 병력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군대를 되찾으러 간달프가 떠나게 되고, 아라곤 일행은 세오덴과 함께 백성들을 이끌고 헬름 협곡으로 대피하게 됩니다. 대피 도중 사루만의 늑대 부대에 의해 아라곤이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굳건하게 살아 돌아오며 일행을 안심시킵니다. 헬름 협곡으로 대피는 했으나, 여전히 병력은 없는 상태였고 사우론의 군대가 헬름 협곡 앞으로 진을 치게 됩니다. 전투 전에 합류한 엘프 동맹의 화살 부대가 있긴 했으나, 여전히 병력 차가 큰 상태였습니다. 큰 전력 차에도 용기 있게 싸웠으나, 로한은 결국 협곡의 최후방까지 밀려나게 되고 이제 마지막 전선이 무너지면 죽음을 앞둔 상황까지 몰리게 됩니다. 아라곤 일행과 세오덴은 명예롭게 죽기 위해 앞다투어 달려 나가게 되는데, 이 순간 로한의 군대를 되찾아온 간달프가 동이 트는 새벽의 후광과 함께 등장하며 전투를 승리하게 됩니다.

 

메리와 피핀

메리와 피핀은 오크들에게 납치를 당해 가는 중에도, 본인들의 흔적을 몰래 남기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배고픔을 못이긴 오크들이 다리라도 잘라서 먹으려고 하는 위기가 발생했고, 그때 나타난 로한의 군대에 의해 오크 군대는 괴멸당하게 됩니다. 메리와 피핀은 서둘러 팡고른 숲으로 도망갔고 이를 쫒아온 오크 한 마리에 의해 또다시 위기를 맞지만, 타이밍 좋게 등장한 엔트 덕에 목숨을 구하게 됩니다. 엔트와 친해진 메리와 피핀은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전쟁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지만 엔트는 동료 엔트들과 회의 끝에 전쟁 불참을 결정합니다. 숲 밖으로 호빗들을 데려주는 도중 메리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되고, 그들 고향 방향이 아닌 사루만의 아이센 가드 쪽으로 데려다 달라고 요청합니다. 엔트는 부탁대로 아이센 가드 쪽으로 발걸음을 돌리게 되고 그곳에서 사루만의 오크들에 의해 벌목 당한 숲을 발견합니다. 분노한 엔트는 고함을 질러 동료들을 모아 아이센 가드로 진격하게 됩니다. 거대한 엔트들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던 고블린들은 불화상로 응전했으나, 엔트들은 둑을 터뜨려 쓸어버렸고, 전쟁을 위해 소수의 병력만 남겨 놓은 아이센 가드는 분노한 엔트들을 막아 낼 수 없었고, 결국 패배해 붙잡히게 됩니다. 메리와 피핀은 사루만을 붙잡고, 여유 있게 술과 고기를 즐기면서 로한 전투에서 승리하고 온 간달프 일행을 맞이하게 됩니다.

각자의 역할

두 개의 탑은 반지 원정대 멤버들이 세 팀으로 나눠져 각자의 상황 속에서 각자의 역할을 다하며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세 가지 시점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데도, 전혀 헷갈리지 않고 각 상황에 몰입해서 볼 수 있었는데 정말 뛰어난 연출과 스토리적 탄탄함이 뒷받침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전반적으로 영화는 계속해서 희망적인 상황과 절망적인 상황이 대립되며 연출되는데, 이를 해결해 나가는 주인공들의 과정이 특히 흥미진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헬름 협곡 전투신은 정말이지 반지의 제왕 시리즈에서 최고의 전투신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 수세에 몰린 상황에서도 명예롭게 싸우다 죽기 위해 나팔을 불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용기 있게 달려 나가는 인간 그 자체의 모습을 보여준 아라곤 일행의 모습은 너무나 감동적이었습니다. 이어서 그에 대한 보답이라도 하듯, 언덕에서 새벽의 후광을 눈부시게 받으며 등장한 간달프와 로한의 군대는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밖에 없었습니다. 가슴이 웅장해지지 않을 수 없는 장면입니다. 마지막으로 엔트의 반격으로 일컬어지는 자연의 경고입니다. 사루만은 환경 파괴에 대한 대가를 정말 톡톡히 치렀는데, 단순히 영화적 장면으로 넘기기에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환경 파괴에 민감한 필자로서는, 이 장면이 단순한 영화 장면으로만 보이지 않았습니다.